정세영 명예회장은 기본을 가장 중요시 하였으며,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초 학문 분야에 투자하여 성장을 위한 저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습니다. 포니정재단은 그의 뜻을 이어 기초학문 분야의 진흥을 위해 2009년부터 인문학 분야의 발전을 위한 학술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2013년 학술지원 지원 분야를 인문학
전체로 확장하고, 지원 대상 또한 교수에서
학위 취득 5년 이내의 인문학 박사로
수정함으로써 보다 많은 신진 인문학
연구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그 문호를 넓혔습니다.
-
since
2009
기초학문 진흥을 위해
인문 · 역사 분야의
연구지원 시작 -
누적 선발 인원35명
우수한 신진연구자를
선발하여 기초학문 분야의
폭넓은 연구 지원 -
누적 지원 금액12억원
안정적인 연구를 위해
연구비 4천만원과
출판지원금 1천만원 지원
학위 취득 5년 이내의 인문학 분야 박사를 대상으로 매년 선발 공고를 게시합니다. 서류심사 및 면접심사 후 우수한 평가를 받은 연구자 2명을 최종 선발하여 연구비 4천만원을 지원합니다. 연구결과는 재단으로 제출해야 하며, 3년 이내에 출판심사를 신청할 경우 심사결과에 따라 출판지원금 1천만원을 추가 지원합니다. 매년 2월 연찬회를 개최해 포니정과 함께 한 인문학자들이 연구 성과를 나누고 토론합니다.
-
7월
온라인 공고 -
8월
지원서 마감 -
9월
서류 심사 -
10월
면접 심사 -
11월
최종 선정 및 발표 -
익년 2월
학술지원 증서 수여 & 연구시작 -
8월
연구 중간 심사 -
익년 2월
연구 종료 & 연찬회 참석
역대 수혜자
-
서울대학교 철학과 ㅣ 돌봄에 대한 사회적 책임 정당화하기
서원주 2023년 연구자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ㅣ 한국어 보조사 구문의 통합양상과 원리
전후민 2023년 연구자 -
북경대학교 중국어언문학계(中國語言文學系) ㅣ 도시 문화 주체로서의 북송(北宋) 사인(詞人)과 그 작품 세계
이진아 2022년 연구자 -
교토대학교 동양사학과 | 실형주의(實刑主義): 청초의 형벌제도와 오형(五刑)의 부활
김한밝 2022년 연구자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역사학부 ㅣ 국제은행과의 밀회 (brief encounter) : 냉전과 외채 위기 그리고 북한의 국제금융활동, 1973~1979
김승우 2021년 연구자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ㅣ 통념의 극복: 15세기 관각문학 글쓰기의 집단지성적 측면과 변화 양상
구슬아 2020년 연구자 -
하버드대 동아시아언어 및 문명학과 │ 근세 티베트와 몽골에 있어서의 기우제(祈雨祭) 전통
김한웅 2019년 연구자 -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대 음악인류학 전공 │ 정체성 (재)인식, (재)형성, 재현의 통로로서, 문화, 사회, 정치적 활동의 장으로서 케이팝 팬덤 연구
김정원 2019년 연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