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영 명예회장은 기본을 가장 중요시 하였으며,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초 학문 분야에 투자하여 성장을 위한 저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습니다. 포니정재단은 그의 뜻을 이어 기초학문 분야의 진흥을 위해 2009년부터 인문학 분야의 발전을 위한 학술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2013년 학술지원 지원 분야를 인문학
전체로 확장하고, 지원 대상 또한 교수에서
학위 취득 5년 이내의 인문학 박사로
수정함으로써 보다 많은 신진 인문학
연구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그 문호를 넓혔습니다.
-
since
2009
기초학문 진흥을 위해
인문 · 역사 분야의
연구지원 시작 -
누적 선발 인원19명
우수한 신진연구자를
선발하여 기초학문 분야의
폭넓은 연구 지원 -
누적 지원 금액6억원
안정적인 연구를 위해
연구비 4천만원과
출판지원금 1천만원 지원
학위 취득 5년 이내의 인문학 분야 박사를 대상으로 매년 선발 공고를 게시합니다. 서류심사 및 면접심사 후 우수한 평가를 받은 연구자 2명을 최종 선발하여 연구비 4천만원을 지원합니다. 연구결과는 재단으로 제출해야 하며, 3년 이내에 출판심사를 신청할 경우 심사결과에 따라 출판지원금 1천만원을 추가 지원합니다. 매년 2월 연찬회를 개최해 포니정과 함께 한 인문학자들이 연구 성과를 나누고 토론합니다.
-
4월
온라인 공고 -
8월
지원서 마감 -
10월
서류 심사 -
11월
면접 심사 -
12월
최종 선정 및 발표 -
익년 2월
학술지원 증서 수여 & 연구시작 -
8월
연구 중간 심사 -
익년 2월
연구 종료 & 연찬회 참석
역대 수혜자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ㅣ 통념의 극복: 15세기 관각문학 글쓰기의 집단지성적 측면과 변화 양상
구슬아 2020년 연구자 -
하버드대 동아시아언어 및 문명학과 │ 근세 티베트와 몽골에 있어서의 기우제(祈雨祭) 전통
김한웅 2019년 연구자 -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대 음악인류학 전공 │ 정체성 (재)인식, (재)형성, 재현의 통로로서, 문화, 사회, 정치적 활동의 장으로서 케이팝 팬덤 연구
김정원 2019년 연구자 -
서울대학교 철학 전공 │ 후설의 현상학과 역사철학 - 역사학과 역사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호재 2018년 연구자 -
서울대학교 한국사 전공 │ 구성된 조공시스템 - 명초 국제질서의 성립과 몽골제국의 유산
정동훈 2018년 연구자 -
캠브리지대학교, 문화유산학 전공 | 억압과 상처의 장소에서 동아시아 평화와 치유의 중심으로 : 구 서대문 형무소의 과거, 현재, 미래 역할 연구
이현경 2017년 연구자 -
하버드대학교, 티벳고전문헌학·고 천문학 전공 | 아락샤 아왕땐달의 불교 논리학을 중심으로: 티벳 불교 논리학의 개념들과 그것들의 종교적 정당화
조석효 2017년 연구자 -
이화여자대학교, 고려시대 불교사 전공 | 고려시대 선종과 밀교, 그리고 다라니집 : 사상적 소통과 실천적 수행을 중심으로
김수연 2016년 연구자
